청년도약계좌 신청자격 및 신청 방법-연이자 8%

1금융권 은행의 낮은 이자율과 높은 물가 상승으로 인해 자산 형성이 어려운 상황입니다. 이에 정부는 청년들의 자산 형성을 지원하기 위해 ‘청년도약계좌’를 선보였습니다. 이 상품은 5년 동안 매월 최대 70만원까지 납입 가능하며, 은행이자 외에도 정부가 월 납입금의 최대 6%를 보조해줍니다.

더불어 비과세 혜택까지 제공되므로 반드시 가입해야 할 필수 상품입니다. 자산 형성을 꿈꾸는 청년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. 5년동안 열심히 적금하면 5000만원 내외의 목돈을 손에 쥘 수 있는 절호의 기회입니다.

아래에서 확인해 보시고 목돈 만드세요

청년도약계좌 신청자격

신청자격은 나이, 개인소득, 가구소득을 모두 충족해야합니다. 상세 내역은 아래를 확인하시면 됩니다.

  • [나이] 가입일 기준 만 19세 ~ 34세 이하 (병역이행기간(최대 6년)은 연령 계산 시 빼고 계산)
  • [개인소득] 직전년도 과세기간의 총급여액이 7,500만원 이하이며,
    종합소득과세표준에 합산되는 종합소득금액이 6,300만원 이하인 경우
    (단, 비과세 소득만 있는 경우는 제외)
    ※ 직전년도 과세기간의 소득이 확정되지 않은 기간에 소득을 확인한 경우 전전년도 소득으로 인정
  • [가구소득] 가구원 수에 따른 기준 중위소득 180% 이하에 해당하는 자
    ※ 직전년도 과세기간의 소득이 확정되지 않은 기간에 소득을 확인한 경우 전전년도 소득으로 인정
    가구원은 청년 본인과 본인의 주민등록표 등본상 배우자, 부모, 조부모, 자녀, 형제·자매(미성년자)를 기준으로 판단

참고 : ‘22년 기준 중위소득 180%

가구원수기준 중위소득 180%(연)
1인 가구42,007,939
2인 가구70,417,836
3인 가구90,605,542
4인 가구110,615,328
5인 가구130,129,524
6인 가구149,191,286
7인 가구168,060,787

청년도약계좌 지원내용

정부의 지원내역을 아래에서 확인해 보시고 혜택 받으세요

은행이자 + 비과세혜택 + 정부기여금 3콤보로 지원됩니다. 안할 이유가 전혀 없습니다.
사업기간이 2023년 06월 15일 ~ 2023년 12월 31일이므로 꼭 챙기셔서 혜택 받으세요.

아래표를 보시면 은행이자와 별도로 정부에서 지원금을 제공해줍니다.
지금 은행적금이자가 우대금리 포함 5%이고
정부지원금이 매달 2.4만원이 나오기때문에 실질 이자율은 약 8%가 넘는 상품입니다.
자격이 된다면 무조건 가입해야하는 상품입니다.

아래 표는 개인소득기준으로 정부기여금을 표시하고 있습니다. 은행이율에 더하여 지원해주는겁니다.
가입 후 1년 단위로 소득을 확인하여 아래 기준에 따라 정부기여금을 주고 있습니다.
5년동안 70만원 입금하면 총 원금이 4200만원인데, 만기 시 5000만원을 받는다고 생각하시면 될것 같습니다.

개인소득 기준정부기여금(月)
지급한도매칭비율한도
총급여 2,400만원↓
(종합소득 1,600만원↓)
40만원6.0%2.4만원
총급여 3,600만원↓
(종합소득 2,600만원↓)
50만원4.6%2.3만원
총급여 4,800만원↓
(종합소득 3,600만원↓)
60만원3.7%2.2만원
총급여 6,000만원↓
(종합소득 4,800만원↓)
70만원3.0%2.1만원
총급여 7,500만원↓
(종합소득 6,300만원↓)

2023년 8월 기준 은행 적금이자율은 우대이율 포함 5%입니다. 우대 이율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하세요.

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 및 유의사항

가입 신청

  • 취급은행 앱에서 신청, 은행에 방문할 필요없이 앱으로 간단하게 완료 !!

가입 프로세스

1 1
  • 개설 신청을 하면 심사하는데 2~3주정도 걸립니다.
  • 8월에 신청하시면 9월초에 개설이 가능합니다.

유의사항

  • 취급은행을 통틀어 1명당 1개의 계좌만 가입 가능합니다.
  • 현재 청년희망적금을 가입하여 유지하고 있는 경우, 추가적으로 가입은 불가능합니다.
  • 5년 만기를 채우지 못하고 중도해지 시
    – 특별중도해지 요건에 해당 본인 납입금 외 정부기여금이 지급, 비과세혜택도 적용
    ※ 특별중도해지 요건 : ① 가입자의 사망·해외이주 ② 가입자의 퇴직 ③ 사업장의 폐업
    ④ 천재지변 ⑤ 장기치료가 필요한 질병 ⑥ 생애최초 주택구입
    – 일반적인 중도해지의 경우 본인이 납입한 부분만 지급, 정부 기여금과 비과세혜택도 지원 불가

자세한 Q&A는 아래 링크 확인해보세요
청년도약계좌 Q&A 바로가기

이상으로 청년도약계좌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 정부가 지원해주는 사업이기 때문에 혜택이 좋기 때문에 가입 가능하시다면 무조건 은행앱으로 신청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. 기본자산 1억을 달성하여 여러가지 투자를 통해 부를 이루는 여러분이 되셨으면 합니다.

더 알아보면 좋은 글

Leave a Comment

error: 이 블로그의 글은 복사방지가 되어 있습니다.